본문 바로가기

#C언어3

03_자료형(Data Type) Datatype(자료형)은 변수라는 메모리 공간의 이름을 설계하는 설계도이다. ​ 그 변수의 공간의 크기나 어떠한 값을 저장할지를 결정하는 단어가 바로 Datatype(자료형)이다. ​ 1bit는 컴퓨터 용량의 가장 작은 단위이다. ​ 1byte는 8bit이다. 1byte = 8bit ​ 여기서 여러 가지 Datatype(자료형)에 알아보자! 부호 비트 2 ^ 6 2 ^ 5 2 ^ 4 2 ^ 3 2 ^ 2 2 ^ 1 2 ^ 0 0(양수) 1 1 1 1 1 1 1 1(음수) 1 1 1 1 1 1 1 자료형의 크기는 1byte가 최소인데 1byte는 8개의 bit가 들어가 있으므로 2 ^ 8로 해서 256개이다. ​ 그런데 비트에는 부호 비트가 있고 맨 앞자리의 비트가 부호 비트이며 부호 비트가 1이면 음수.. 2023. 3. 11.
02_변수(Variable) int MushroomHp = 100; printf("이름 : 주황버섯\n"); printf("체력 : %d\n", MushroomHP); printf("주황버섯에게 10의 데미지를 주었습니다.\n"); MushroomHp = 90; printf("주황버섯의 Hp는 %d가 되었습니다.",MushroomHp); 변수(Variable)은 특정한 값(프로그래머가 정한 이름, 값)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합니다. ​ Variable 1, 2, 3은 각가의 메모리 공간 이름을 가지고, 그 메모리에 값을 넣어 줄 수 있습니다. ​ 변수 선언 방법 : 자료형 + 변수 이름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방법 : 변수 이름 = 값 Variable(변수 이름) MushroomHp SlimeHp StumpHp 값(Value).. 2023. 3. 8.
01_출력(Output) printf("Hello World"); // Hello World를 출력 /* author : RongBee date : 2023 - 03 - 04 time : 20 : 33 */ // , /* Text */ (comment) : 주석이라고 하며, 프로그래머가 어떠한 코드에 대해 설명을 추가하고 싶거나, 코드를 식별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장으로 컴퓨터가 명령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#include 를 하나하나 분석해 보자 #include의 include는 포함하다는 영어 단어이다. 그리고 stdio.h의 std는 standard의 줄임말로 표준이라는 뜻이고 ​ i 는 input 즉 입력이라는 뜻, o 는 output 출력이라는 뜻이다. ​ 그래서 출력을 하기 위해 포함시켜야 하는 라이브러리이며, #incl.. 2023. 3. 4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