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rintf("Hello World"); // Hello World를 출력
/*
author : RongBee
date : 2023 - 03 - 04
time : 20 : 33
*/
// , /* Text */ (comment) : 주석이라고 하며, 프로그래머가 어떠한 코드에 대해 설명을 추가하고 싶거나,
코드를 식별하기 위해 작성하는 문장으로 컴퓨터가 명령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
#include <stdio.h>를 하나하나 분석해 보자
#include의 include는 포함하다는 영어 단어이다.
그리고 stdio.h의 std는 standard의 줄임말로 표준이라는 뜻이고
i 는 input 즉 입력이라는 뜻, o 는 output 출력이라는 뜻이다.
그래서 출력을 하기 위해 포함시켜야 하는 라이브러리이며,
#include <stdio.h>를 컴퓨터에게 명령하기 전에 해석해 보자면 C언어 표준 입출력 파일을 포함시켜라!
int main()
{
printf("Hello World!);
}
#include 다음 보통 int main()을 많이 쓰는데 여기서
main은 여기서부터 우리의 프로그램이 시작된다는 명령을 수행할 시작 부분이다.
그리고 { . . . } 이 중괄호는 프로그램을 모아둘 케이스이다.
printf 의 print는 인쇄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, " " 는 문자열을 식별하는 식별자 역할을 한다.
그래서 printf(" 인쇄하여 출력할 문장 " ) 이렇게 표현하여 명령한다.
그럼 문자를 식별하는 기호는?? ' ' 작은 따옴표가 바로 문자 식별 기호이다.
그리고 하나의 명령을 마쳤다는 표현을 하기 위해 ; (세미콜론)이라는 것을 사용한다.
int main()
{
printf("Hello\n"); // 줄바꿈을 하여 출력하려면 \n이라는 기호를 사용하여 출력한다.
printf("World!");
return 0; // 프로그램 명령에 끝 지점을 지정해주는 명령어이다.
// return 0는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라는 명령이다.
}
\n 은 줄바꿈 명령을 내리는 명령어이다.
'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6_입력(Input) (0) | 2023.03.21 |
---|---|
05_연산자(Operator) (0) | 2023.03.18 |
04_Literal (0) | 2023.03.15 |
03_자료형(Data Type) (2) | 2023.03.11 |
02_변수(Variable) (2) | 2023.03.08 |
댓글